자바(33)
-
[정규표현식] java Regular Expression
[펌] http://lng1982.tistory.com/141 정규표현식은 특정한 규칙을 가지는 문자를 표현하는데 사용하는 형식 언어이다.정규표현식을 잘 모를 때에는 validation 체크가 상당히 고단하고, 지루했지만 정규표현식을 자유 자재로 다룰 줄 알게 되면 상당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유용하며 코드가 깔끔해 진다. 가끔 표현식을 까먹는 경우가 있어 이곳에 표로 정리를 하고, 각 표현식에 대한 테스트 케이스를 만들어 보았다. 표현식 설명 ^ 문자열의 시작$ 문자열의 종료 . 임의의 한 문자 (문자의 종류 가리지 않음) 단, \ 는 넣을 수 없음 * 앞 문자가 없을 수도 무한정 많을 수도 있음+ 앞 문자가 하나 이상? 앞 문자가 없거나 하나있음 [] 문자의 집합이나 범위를 나타내며 두 문자 사이..
2015.12.10 -
Java 이전 버전 다운로드 URL
밑에 주소로 접속하면 이전 버전부터 현재 버전까지의 링크가 존재합니다. http://www.oracle.com/technetwork/java/javase/archive-139210.html
2015.09.10 -
[JAVA] 8. 연산자
■ 연산자란? - 연산자(operator)란 특정한 작업을 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기호를 의미한다. - 피연산자란, 연산자의 작업대상을 말한다.(변수, 상수, 수식, 리터럴) ■ 종류 단항연산자+ 부호연산자 - 부호연산자 ++ 증가연산자 피연산자의 값을 1 증가 시킨다. -- 감소연산자 피연산자의 값을 1 감소 시킨다. ~ 비트전환연산자 피연산자가 가지는 bit 값을 반전 시킨다. ! 부정연산자 boolean Type 피연산자의 값을 반전 시킨다. (데이터타입) 형변환연산자 () 안에 데이터 타입으로 피연산자의 값을 변환 시킨다. - 증가, 감소 연산자는 피연산자를 기준으로 앞 or 뒤에 위치할 수 있으며, 위치에 따라서 전위형, 후위형으로 불린다. ex) 전위형 - 피연산자의 값이 참조 되기 전에 피연사..
2015.04.21 -
[JAVA] 7. 배열
■ 배열이란? - 배열이란, 동일한 데이터타입의 모임이라고 볼수 있다. 예로 5개의 int형 변수를 선언해서 사용하던 것을 int형 배열 하나를 선언해 5개를 저장할 수 있는 배열 객체를 생성해 할당해 준다고 보면된다. - 배열이란 변수의 집합 ,같은 데이터 타입의 변수를 한꺼번에 많이 저장하는 저장소 이다. - 배열의 크기는 배열의 첨자로 결정한다. - 배열의 메모리는 연속적으로 잡힘 - 배열의 이름(변수)은 연속된 변수들을 참조하기 위한 참조 값 - 배열도 객체이므로 Heap에 메모리가 할당되며 Object클래스의 메서드 이용가능하다 - 동일한 자료형을 갖는 자료의 배열 [출처] 오라클자바커뮤니티 - http://www.oraclejavacommunity.co.kr/bbs/board.php?bo_ta..
2015.01.07 -
[JAVA] 6. 형변환(Casting)
■ 형변환(Type Casting) - 형변환이란 변수가 저장하고 있는 값이나 리터럴을 원하는 자료형으로 변환하는 작업이다. 변수의 자료형을 바꾸는 형변환은 없다. 또한 기본형 데이터타입의 boolean은 형변환 대상이 아니다. 형변환에는 JVM에 의한 자동 형변환과 프로그래머가 필요해서 하는 명시적 형변환이 있다. 여기서는 기본형 데이터탑의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하겠다. ◇ 자동 형변환(Up-Casting) long lo = 300; - 자동형 변환은 데이터타입의 표현범위가 작은쪽으로 많은쪽으로 변환이 될때만 가능하다. ◇ 자동 형변환이 이루지는 방향 byte ☞ short ☞ int ☞ long ☞ float ☞ double char ◇ 명시적 형변환(Down-Casting) float f = 1.1;..
2014.12.24 -
[JAVA] 5. 데이터타입이란?
■ 데이터타입이란? - 컴퓨터 메모리에는 비트의 패턴이 저장된다. 이것이 무엇을 의미할지는 순전히 어떻게 쓰여질지에 따라 달려있다. 이렇게 어떻게 쓰일지를 결정하는게 바로 데이터 타입이다. Data Type 데이터가 어떻게 표현되고 사용될지를 결정한다. 데이터 타입에 따라 컴퓨터가 어떻게 데이터를 다룰지 알 수 있다. 컴퓨터에 저장된 모든 값은 데이터타입에 의해서 표현될 수 있다. - 자바는 데이터를 표현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몇가지 내장된 데이터 타입을 가지고 있다. 이것을 primitive data type라고 한다. 자바는 8개의 primitive 데이터 타입을 가지고 있다. [ byte, short, int, long, float, double, char, boolean ] 같이 비트로 저장되어..
2014.12.23